Quantcast
Channel: IT Times - Daily News
Viewing all 13550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OVEN Industries Offers Low Cost Temperature Controller That OperatesWith Thermoelectric Modules

$
0
0
Monday, January 16th, 2017

OVEN Industries 5R9-350

OVEN Industries(www.ovenind.com), experts in precision temperature and sensor applications, offers field configurable low cost Temperature Controller identified as the 5R9-350. Accessories available are Digital Display, Keypad, Sensors and Cable (not shown).

This open board temperature controller is specifically designed with a proportional integral control algorithm to provide the most precise control to thermoelectric (Peltier effect) modules at the most economical price. The controller can be setup for heat or cool and can run Ramp & Soak profile.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s the power level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at a base frequency of 2.5 KHz, output stage is high resolution.

Oven Industries, Inc. (OI) was founded in 1964 and specializes in the development of custom electronic temperature controllers and sensors along with extensive turnkey Contract Manufacturing capabilities and International Sourcing. OI also carries a full line of standard products, purchasable online, including temperature controllers and sensors, power supplies, heat sinks, thermistors and thermocouples. OI supplies precision electronic devices that serve an array of clients not limited to these industries; aerospace, automotive, biomedical, defense markets, medical and semiconductor. With a superior design engineering staff and complete production facilities, the company is a leading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mpany.


‘가입자 이탈 막아라’ 이통사 요금제 경쟁 점화

$
0
0
결합할인·약정폐지 등 파격 요금제 출시...가계통신비 절감 효과 기대
Monday, January 16th, 2017

사진/ LG유플러스 제공

신규 가입자 포화상태의 이동통신 시장에서 기존 고객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요금제 경쟁이 다시 불붙었다. 각 타겟층의 사용 패턴에 맞춘 다양한 요금제를 개발해 가입자를 유지하는 한편 고객 충성도를 높여 미디어나 사물인터넷 등 새로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정부가 이동통신 업체에 가계통신비 절감을 위한 방안 강구를 독려하는 등 가계 통신비 절감이 화두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요금경쟁 촉발이 ‘통신비 부담 감소’라는 실질적인 소비자 수혜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통 3사가 연초부터 내놓은 요금상품은 가히 파격적이다. LG유플러스, SK텔레콤, KT 등은 결합할인의 폭을 넓히거나 약정을 아예 없애는 등의 파격 행보를 보이고 있다.

가장 먼저 경쟁의 포문을 연 것은 LG유플러스. 이 업체는 새해 신규 상품으로 스마트폰 결합 할인 상품인 ‘가족무한사랑’ 요금제를 출시했다. 인터넷 가입 기반으로 모바일을 결합하는 유무선 형태가 주를 이루던 기존의 통신 결합상품과 달리 인터넷 없이 가족끼리 모이는 것만으로 통신요금을 할인 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결합범위는 본인, 배우자, 직계 존·비속, 형제·자매를 비롯해 배우자의 부모, 배우자의 형제·자매, 사위·며느리까지 해당된다. 최소 2회선부터 최대 4회선까지 가능하며 가족무한사랑으로 모인 가족의 휴대폰 사용기간을 합산해 추가 할인도 제공한다. 가령 4명의 가족이 가족무한사랑 요금제에 가입 후 장기고객 할인까지 받게 되면 매월 최대 4만4천원까지 할인 받을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은 음성·데이터를 선택해 가입하는 선택형 요금제를 약정 없이 할인받는 순액형 요금제로 개편했다. 그동안 가입자들의 불만을 사왔던 약정할인 위약금이 사라지면서 고객 부담이 줄고 요금제 투명화로 상품 선택이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업체가 출시한 순액형 '뉴 T끼리‘ 요금제는 기존의 선택형 'T끼리 맞춤형’ 요금제를 약정이 없는 형태로 개편한 것이다. 계약을 해지하더라도 약정할인에 따른 위약금이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단말 구매 지원금 할부 잔액만 지불하면 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순액형 요금제는 월 6만원 요금제를 24개월 약정 이후 4만8천원으로 할인하던 것을 약정을 맺지 않고 처음부터 4만8천원에 제공하는 방식”이라며 “약정으로 가입자를 잡아두기 보다는 사용 패턴에 최적화된 요금과 서비스로 가입자가 남아있고 싶은 SK텔레콤을 만들겠다는 의지”라고 설명했다.

KT는 포화된 스마트폰 시장을 넘어서 태블릿, 웨어러블기기 가입자를 확대한다는 전략 하에 6개월간 스마트기기 전용요금제 50%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스마트기기 요금 반값 찬스’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고객이 테블릿PC, 웨어러블기기 등 스마트기기를 구매한 시점부터 6개월 동안 휴대폰 1회선 당 스마트기기 1대까지 할인혜택을 제공한다. 스마트기기 요금제에 따라 매월 4천400원에서 최대 1만2천100원까지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알뜰폰 업체들도 이통3사 대비 20~50% 저렴한 데이터 요금제나 파격적인 기본료·단말기 할인 등으로 이동통신 시장에서의 지분 확대에 나서고 있다.

헬로모바일은 이달 초부터 쓰고 남은 데이터를 요금할인으로 돌려주거나 초과 사용료를 반값에 제공하는 ‘착한 페이백 데이터유심’ 요금제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휴대폰 구매시 요금지원금을 선택하면 2년간 매월 기본료의 최대 40%를 할인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이지모바일도 새해를 맞아 인기 요금제와 폴더폰을 결합한 한시적 이벤트를 실시한다. 통신 사용량이 많지 않은 고객을 위한 ‘제로44’ 요금제 가입자가 매직홀 폴더폰 구매시 단말기를 월 1천100원에 제공하는 프로모션이다.

이처럼 공격적인 마케팅에 힘입어 알뜰폰 시장은 내달 가입자 7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알뜰폰 업계는 이 추세라면 올해 800만명 돌파도 가능한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 전체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15% 선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조달청, 공공IT사업 제안서 평가 투명성 높인다

$
0
0
Monday, January 16th, 2017

조달청(청장 정양호)이 공공 정보기술(IT)사업 제안서 평가의 투명성과 전문성을 높인다. 조달청은 15일 공공 IT사업 협상계약 제안서 평가의 공정성,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협상에 의한 계약 제안서평가 세부기준'을 개정해 16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기준은 계약이행과정에서 고도의 전문성과 기술력이 필요한 물품 및 용역의 입찰 때 적용하는 협상에 의한 계약방식의 기술능력평가 관련사항을 정한 규정이다. 조달청은 지난해 물품 및 용역 계약실적 24조2638억원중 3조63억원(12.4%)을 협상에 의한 계약방식으로 계약했다.

조달청은 “이번 조치는 그간 제도운영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보완이 요구된 온라인 평가체계, 평가위원 자격요건, 소프트웨어(SW) 제값주기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개정안은 온라인 평가에도 제안서 발표와 토론을 허용하고 제안서를 사전에 배포해 평가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을 담고 있다.

또 일반평가위원에 임기(3년)를 도입하고 청렴성 검증을 강화하는 한편 실명.평가점수 공개로 공정성이 높은 전문평가위원제도를 확대키로 했다.

상용 SW 유지관리업체가 적정 하도급대금을 지급받는지를 평가해 중소업체를 보호하고 계약법규 등을 자주 어기는 업체는 신인도 평가를 통해 불이익을 주게 된다.

 

신년 '랜섬웨어'경계령… 지식·기술 날로 고도화

$
0
0
연말정산·탄핵 등 사회적 이슈 악용 주의...‘서비스형 랜섬웨어’ 급증
Monday, January 16th, 2017

자료/ KISA

'랜섬웨어(Ransomware)'공포가 사회 전방위로 퍼지고 있다. 2016년 최악의 악성코드로 등극한 랜섬웨어는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에 잠입, 내부 문서나 사진 파일 등에 암호를 걸어 열지 못하도록 잠근 뒤 해독용 열쇠 프로그램을 전송해 주는 대가로 금품을 요구하는 악성코드다.

특히 올해는 지능형 지속위협(APT) 공격과 결합한 랜섬웨어 악성코드 유포를 시도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계정을 탈취해 감염 확률을 높이는 등 기존 방식보다 진화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한 랜섬웨어 피해 신고는 1천438건이다. 2015년 4월 국내에서 처음 피해 사례가 발견된 후 770건의 피해 신고가 접수된 것과 비교하면 무려 86.8%나 증가했다.

악성코드 종류 역시 같은 기간 3.5배 늘어났으며 지식과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수법 또한 더욱 다양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공학적 공격 방법을 이용한 표적형 스팸메일과 광고 서버를 해킹해 랜섬웨어를 대량으로 유포하는 멀버타이징(Malvertising) 형태의 랜섬웨어 유포 사례가 대거 발견됐다. 홈페이지 취약점을 악용하거나 파일공유 사이트를 통해 유포되던 기존 방식에서 한 단계 진화한 형태이다.

PC복구에 필요한 복호화 키를 무료로 주는 대신 2명의 다른 희생자 이메일 주소를 요구하는 보다 악랄한 수법도 등장했다. 첨부된 악성파일을 걸러주는 메일 필터링 시스템이나 유해 트래픽 감지 시스템 등 보안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중소기업이 이러한 수법의 희생양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랜섬웨어가 급증한 이유는 투자 대비 수익이 높은 돈벌이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보안업체 이스트시큐리티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해커들이 랜섬웨어로 벌어들인 수익은 8억5천만달러(약 1조200억원)로 추산된다. 글로벌 보안업체 시만텍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랜섬웨어 평균 요구액은 건당 679달러(약 80만원)로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랜섬웨어가 해커들에게 돈벌이 수단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공격 시도와 피해 규모 모두 증가할 것"이라며 “특히 지난해부터 전문 대행업자가 의뢰인의 주문을 받아 대신 제작한 ‘서비스형 랜섬웨어’가 급증하면서 금전적 이득을 노린 랜섬웨어 공격 시도는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사이버공격 대행업 형식을 띄고 있는 서비스형 랜섬웨어는 전문 지식 없어도 랜섬웨어를 유포할 수 있어 ‘지식 없는 해커’를 양산하고 있는 셈이다. 대행업자가 단순 제작부터 유포와 사후 관리까지 다양한 옵션을 제시하며 의뢰인을 모집하고 피해자가 금품을 지불하면 수익의 일부를 가져가거나 의뢰인으로부터 정해진 비율의 수수료를 받는 방식으로 이득을 취한다.

지난해 유행한 서비스형 랜섬웨어 ‘케르베르(cerber)’는 보안 솔루션의 코드 분석을 지연시키거나 업데이트를 통해 지속 관리를 하며 최대 악성코드로 등극했다.

올해도 랜섬웨어의 기세는 꺾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대통령 탄핵소추 관련 헌법재판소의 판결, 대통령 선거, 특검 수사 등 사회·정치적 이슈를 활용한 대규모 유포가 증가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사회적으로 떠들썩한 이슈를 다룬 게시물을 가장해 주목을 높인 후 자세한 내용을 보기 위해 링크를 클릭하면 랜섬웨어 유포용 가짜 페이지로 이동시켜 감염을 유도하는 등의 공격 방식이다.

또한 막대한 몸값을 지불할 능력이 있는 기업이나 기관을 타깃으로 장시간에 걸쳐 치밀하게 침투를 시도하는 APT 공격 기법을 적극 활용할 가능성도 높다. KISA는 보고서를 통해 “APT 공격을 결합하면 의사결정권을 가진 임원의 PC를 탈취해 직원들에게 랜섬웨어를 유포하거나 기업 내부 암호화 솔루션에 사용되는 키 값을 임의로 변경해 이를 빌미로 금전을 요구하는 시나리오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보안 전문가들은 랜섬웨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중인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고 백신 소프트웨어 설치 및 실시간 감시를 활성화하며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과 URL 링크 실행을 자제하는 등의 보안수칙을 준수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한다.

LS산전 IP 경쟁력, 글로벌 에너지 분야 ‘TOP 5’ 인정

$
0
0
Monday, January 16th, 2017

구자균 LS산전 회장/ LS산전 제공

LS산전이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 전 톰슨 로이터 IP & Science 사업부)가 선정하는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에 6년 연속선정됐다.

세계적으로 5개 사만 선정된 에너지 부문에 이름을 올리며, 글로벌 에너지 기업을 포함해 톱 5 수준의 IP(지식재산권 ; Intellectual Property) 경쟁력을 공식 인정받은 것이다.

LS산전은 최근 클래리베이트가 발표한 ‘2016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에 LG전자, 삼성전자와 함께 6년 연속 선정, 지난 16일 경기도 안양 LS타워에서 트로피 수여식을 가졌다.

구자균 LS산전 회장은 데이비드 브라운(David Brown) 글로벌 부사장과 데이비드 류(David Liu) 아시아태평양 총괄 디렉터 등을 환담하고 트로피를 전달 받았다.

구자균 회장은 “새로운 사명으로 출발하는 클래리베이트 100대 혁신기업에 또다시 선정돼 의미가 남다르다”며 “석유, 화학, 에너지 분야를 통틀어 5개사 만이 선정된 가운데 LS산전이 이름을 올렸다는 점은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데이비드 브라운 클래리베이트 부사장은 “글로벌 혁신이라는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LS산전에 박수를 보낸다”면서 “첫 선정 이후 6년 동안 줄곧 세계의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선정된 만큼 앞으로도 더 높은 수준의 혁신을 이룰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클래리베이트는 이번 수여식에 앞선 지난 11일 ▲종합적인 특허 출원 규모 ▲특허 승인 성공률 ▲세계적인 적용 범위 ▲영향력 등 포괄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세계 주요 기업의 혁신성을 평가해 2016년 100대 혁신기업을 발표했다.

 

일반 노동자도 출퇴근길에 사고 나면 산재 인정해야

$
0
0
Monday, January 16th, 2017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환경노동위원회)이 노동자들이 출퇴근길에 발생한 사고를 산업재해로 인정받는 내용의 산업재해보상보험법개정안을 발의했다고 16일 밝혔다.

현행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은 근로자가 출퇴근하다 발생한 사고 중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등 사업자가 관리・감독하는 경우에 발생한 사고만을 예외적으로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고 있다.

공무원·교사·군인의 경우 출퇴근길에 발생한 사고 전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는 것과 달리 한정적으로 산재를 인정하고 있어 형평성 문제에 대한 지적이 있어 왔다.

헌법재판소는 지난해 9월 사업주 지배 하의 출퇴근 재해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보호하는 현행법 규정이 헌법상 평등의 원칙에 위배된다며 헌법불합치 판결을 내렸다.

한 의원은 "지금은 일반 노동자가 출퇴근길에 사고가 나도 산재로 인정받지 못한다"며 "공무원·교사·군인의 경우 출퇴근길에 발생한 사고 전체를 산재로 인정하는 것과 달리 한정적으로 산재를 인정하고 있어 형평성에서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개정안은 일반 노동자들이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으로 출퇴근하다 발생한 사고도 산재로 인정하도록 했다. 다만 음주운전·무면허운전 등 노동자의 중대한 과실로 사고가 발생했다면 보험급여 전부 또는 일부를 받지 못한다.

 

로봇과 인공지능이 우리직업을 훔쳐갈까?

$
0
0
Monday, January 16th, 2017

몇 년 전만해도 그저 로봇은 생산효율을 거드는 자동화정도로 생각했고 구글 딥 마인드(Google Deep Mind)가 개발한 알파고라는 인공지능이 인간을 능가하는 괴력을 보면서도한편으로는 인간고유의 창의력은 넘볼수 없을거라는 자위를 한지도 거의 1년이 가까워 오고 있다. 그러나 그런상상을 넘어 사람들은 로봇과 인공 지능이 우리의 일자리를 훔칠 것이라는 두려움을 서서히 다가오고 있다.

아마 가까운 장래에, 로봇과 인공 지능이 산업계를 파고들어 현실화 된다면 생업을 어떻게 할 것 인지 걱정할 것이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는 기계의 자동화로 인한 직업 상실에 대한 가장 중요한 제안 해결책 중 하나 인 "보편적 기본소득"(universal basic income/UBI)즉, 기초소득보장에 대해 현실화되는 것을 시험하고 있는 중이다

즉, 좀 더 현실적인 환경에서 노동자들의 실직에 대한 예측과 현실적으로 국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며 정책을 어떻게 실행해야 할 것 인지 등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다.

2013 년 옥스포드 마틴 스쿨의 칼베네딕 프레이 박사(Dr. Carl Benedikt Frey of the Oxford Martin School)에 의하면 향후 20년 안에 미국에서의 일자리의 47 %가 자동화에 의해 없어질 위험이 있다고 추정했다.

이 수치는 맥켄지 앤 컴퍼니(McKinsey & Company)가 최근 확인한 바, 인공지능, 로봇, 3D프린팅과 같은 기하 급수적으로 변모된 기술들을 사용해 45 %의 업무가 자동화 될 것이라고 한다.

공장 노동자와 농부에서부터 의사와 변호사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직업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개발도상국에서 그 영향은 훨씬 더 심할 것이라는 평가다.

이러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기술실업이 사회에 엄청난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반면, 또 다른 사람들은 끊임없이 악화되는 우리의 삶의 비용을 기본소득의 보편적인 분배라는 개념으로 사회가 점차 적응할 것이라고 믿는다.

UBI는 사람들이 보험이나 일반적인 수입 이외에 정부나 다른 공공 기관이 개입하여 아무런 조건없이 일정금액을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정책으로 사회적 불공평을 해결하자는 것이다.

최근, UBI에 대한 실험은 핀란드와 네덜란드에서부터 캐나다와 프랑스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 10 년 동안 8 개국 이상이 UBI를 공식적으로 시험했다. 기본 소득이 빈곤, 사회적 배제 및 관료주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지, 고용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지 평가하는 것을 1차 목표로 하는 시험을 시도했다.

또한 핀란드와 네델란드의 위트레흐트와 인근 도시주민을 상대로 2017년과 2018년에 걸쳐 2년동안 아무 조건없이 월 960 유로 (약 1,100 달러)를 지급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인도는 2011 년 인도는 유니세프 (UNICEF)가 자금을 지원하는 기본 소득 보조금 (Basic income grants)의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2개의 시험프로젝트를 출범시켰다.

또한, 금년1 월에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둔 샘 얼먼 (Y Combinator회사) 사장은 신생기금(startup fund )이 미국에서도 UBI소개를 계획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UBI 실험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전망은 밝은 편이다. 세계보건기구는 인도에서 측정한 결과, 초기 결과로 어린 아이들의 평균체중이 커졌고 영양 상태가 개선되었음을 보여 주었으며 특히 소녀들의 건강상태가 개선되었다고 했다. 같은 연구에서, UBI 교부금은 보다 많은 노동효과를 이끌었고 사람들이 일을 안하고 게을러 질것이라고 우려했던 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비정규직 중심의 노동력 부족이 자영업 농민 및 기업 활동으로 옮겨 가면서 이 지역의 노동구조가 바뀌었다

UBI 가 어떻게 작동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매력적인 연구는 캐나다의 작은 마을에서 나왔다. 1974 년부터 1979 년까지 캐나다 정부는 마니토바 지방과 파트너 관계를 맺고 최소한의 소득실험보장 (MINCOME/Guaranteed Minimum Income Experiment) 을 주민들에게 제공했다.

MINCOME 은 약 1 만명의 인구가 사는 대초원 도시 인 Dauphin과 소수의 위니펙과 일부 지방의 농촌 지역 주민을 상대로 모든 적격 가족에게 보장 된 기본적인 연간소득을 제공하는 실험이었다.

그 결과, 병원에 입원하는 횟수가 줄었고, 교통사고와 일반부상이 줄었으며 정신 건강문제로 인한 병원 입원하는 현상이 크게 감소했다. 또한, 고등학교 졸업률이 증가했으며 25 세 이전에 청소년 층 출산율이 줄었다

이 프로그램의 결과로 고용인의 고용 효과가 안정되었으며, 풀 타임 일자리를 가진 일차 노동자의 경우 사실상 일자리가 줄어들지 않았다. 근본적으로, 아무도 직장을 그만두는 사람이 없었다.

정부가 지불한 현금은 가족의 경제적 불안을 덜어줌으로써 건강에 투자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더 장기적인 생활계획을 할 수 있게 됐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UBI의 함축적 의미는 대부분 긍정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전국민을 상대로 하기에는 분명히 많은 복잡성이 있다.

기술 혁신과 자동화의 속도를 고려할 때 정부가 어떻게 신속하게 대응하며, 실제로 실업에 대한 해결책과 어디에서 재원을 마련하고 세금문제를 어떻게 할 것인지, 등 문제들이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우리는 로봇과 인공 지능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우리의 노동을 재분배하고 사람들이 자기실현을 가능케 하는 방법으로 UBI 정책이 현실화 된다면 우리는 풍요의 세계에 한 걸음 다가 서게 될 것이다.

UBI가 우리나라에 적용된다면 미래를 그려보는 청사진이 되지 않을까? 한국경제와 정치에 극심한영향을 끼친 해묵은 노사갈등과 분쟁의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과 사회양극화의 늪에서 빠져 나와 우리의 미래에 희망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본다.

이재용 구속영장 청구 “정의가 우선” vs "나라 경제는?"

$
0
0
Monday, January 16th, 2017

사진/ JTBC 캡처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은 정의를 세우는 일이 우선이라 판단해 결정했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16일 “국가경제를 생각했다”면서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배경을 이같이 설명했다.

특검팀은 이 부회장에게 뇌물공여와 특정경제가중처벌법상 횡령, 국회에서의 증언 및 감정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 등을 적용했으며, 구속 여부는 18일 결정될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찬반 여론이 갈리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6일 삼성그룹의 경영공백을 우려하며 신중론을 폈다. 경총은 "이건희 회장이 3년째 건강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부회장마저 구속된다면 삼성그룹은 심각한 경영공백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총은 또 “이 부회장과 삼성그룹에 대한 오해가 있다면 이 또한 명확히 해소되기를 바란다”면서도 “이 부회장의 구속이 가뜩이나 얼어붙은 우리 기업인들의 '경제하려는 의지'를 더욱 꺾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사법당국의 신중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부회장의 범죄혐의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 구속수사는 신중히 검토돼야 한다"며 "더욱이 도주나 증거인멸의 우려가 없다면 불구속 수사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같은 날 성명에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핵심 주범은 재벌이었다는 사실이 낱낱이 드러나고 있다"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즉각 구속하고 연루된 모든 재벌 총수도 구속하라"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재벌 기업들은 최순실 일당에게 미르재단, K스포츠재단 출연과 각종 뇌물을 주고 그 대가로 노동개악과 각종 규제 훼손 입법을 청탁했다"며 "재벌 총수들이 자기 주머니를 챙기는 데만 골몰하는 사이 실업률은 사상 최고를, 경제성장률은 사상 최저를 기록하며 나라 경제가 파탄으로 내몰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삼성을 비롯한 재벌들이 미르재단에 출연을 마친 다음날인 2015년 10월 27일 박근혜 대통령은 국회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예산과 관련도 없는 구조조정법과 노동개악법을 조속히 처리하라고 발언했다"며 "이재용이 구속되면 경제가 흔들린다는 헛소리는 그만 둬야 한다. 헌법 위에 군림하던 재벌들을 밑으로 끌어내리고 책임을 묻는 것이 경제 살리기의 첫 과제"라고 주장했다.

정의당은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수사는 뿌리 깊은 정경유착의 적폐청산을 위한 첫걸음"이라며 “특검의 단호하고 응당한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정의당은 “삼성의 과오는 비단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에 대한 뇌물에 국한되지 않는다"며 "이 부회장을 비롯한 이건희 일가가 그릇된 삼성 지배구조를 유지, 대물림하는데 있어 막대한 금권을 동원했음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네티즌들은 이 부회장의 구속을 바라는 의견이 많은 가운데, 일부에서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어떤 경우에도 불법을 저지른 일에 관해서 거래와 흥정이 있을 수 없다“는 의견과 ”나라 경제가 우선“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Rise of the robots: Mady Delvaux on why their use should be regulated

$
0
0
Tuesday, January 17th, 2017

Mady Delvaux

The Korea IT Times release a transcript of article by European Parliament. The article is about to call on the European Commission to produce a legislative proposal to deal with issues such as who should be liable if someone gets hurt due to robots.

From drones to medical equipment, robots are increasingly becoming a part of our everyday life. But although some 1.7 million robots already exist worldwide, their use is still not properly regulated. A report being voted on today by the legal affairs committee calls on the European Commission to produce a legislative proposal to deal with issues such as who should be liable if someone gets hurt due to robots. We talked to report author Mady Delvaux, a Luxembourg member of the S&D group.

What kind of robots are we talking about here? Can you give us some examples?

We are not talking about weapons. We define robots as physical machines, equipped with sensors and interconnected so they can gather data. The next generation of robots will be more and more capable of learning by themselves. The most high-profile ones are self-driving cars, but they also include drones, industrial robots, care robots, entertainment robots, toys, robots in farming...

In your report you discuss whether robots should have a legal status. What would that mean in practice?

When self-learning robots arise, different solutions will become necessary and we are asking the Commission to study options. One could be to give robots a limited “e-personality” [comparable to "corporate personality", a legal status which enables firms to sue or be sued] at least where compensation is concerned. It is similar to what we now have for companies, but it is not for tomorrow. What we need now is to create a legal framework for the robots that are currently on the market or will become available over the next 10 to 15 years.

So in the meantime who should be responsible in case of damage? The owner, the manufacturer, the designer, or the programmer?

We have two option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trict liability it should be the manufacturer who is liable, because he is best placed to limit the damage and deal with providers. The other option is a risk assessment approach according to which tests have to be carried out beforehand [to assess the risks] and compensation has to be shared by all stakeholders. We also propose there should be compulsory insurance, at least for the big robots.

You also mention that some vulnerable people can become emotionally attached to their care robots. How can we prevent this happening?

We always have to remind people that robots are not human and will never be. Although they might appear to show empathy, they cannot feel it. We do not want robots like they have in Japan, which look like people. We proposed a charter setting out that robots should not make people emotionally dependent on them. You can be dependent on them for physical tasks, but you should never think that a robot loves you or feels your sadness.

Why is Parliament looking into this issue?

For once, we would like to set common European principles and a common legal framework before every member state has implemented its own and different law. Standardisation is also in the interest of the market as Europe is good in robotics, but if we want to remain leader, we need to have common European industry rules.

Regarding liability, customers need to be sure that they will be insured if damage occurs. The big issue is safety and data protection. Robots cannot function without an exchange of data so there is also a question of who will have access to this data.

People who fear they will lose their jobs are told that robots will actually create new jobs. However, they might only create jobs for highly-skilled people and replace low-skilled workers. How can this be solved?

I believe this is the biggest challenge to our society and to our educational systems. We do not know what will happen. I believe there will always be low skilled jobs. Robots will not replace humans; there will be a cooperation between both. We ask the Commission to look at the evolution, what kind of tasks will be taken over by robots. It can be a good thing it they are used for hard work. For example if you have to carry heavy goods of if the job is dangerous. We have to monitor what is happening and then we have to be prepared for every scenario.

The report also deals with the issue of whether we should change our social security systems and think about universal revenue, because if there are many unemployed people we have to assure they can have a decent life. It also calls on member states to reflect on it, because these competences are not within the EU.

 

GS건설, 신대림 자이 아파트 싱크홀 논란

$
0
0
책임공방으로 주민안전 ‘뒷전’... “GS가 하자종결 노린다” 지적도
Tuesday, January 17th, 2017

2012년 5월 신대림 자이. K사는 확대한 부분에서 이미 싱크홀이 발생하고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네이버 거리뷰 캡처

GS건설의 신대림 자이 아파트에 싱크홀이 발생해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시공사인 GS건설은 “원인규명이 우선”이라며 하자보수를 미루고 있어 ‘주민 안전은 뒷전’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GS건설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약 2개월 전에 신대림 자이 아파트에 50cm~1m 깊이의 싱크홀 3개가 패였다. 이 아파트는 준공된지 9년이 넘은 아파트로 현재 400여세대가 산다. 계속해서 싱크홀의 깊이와 폭이 커지고 있어 주민들의 불안과 원성을 키우고 있다.

관리소측과 주민들은 임시방편으로 싱크홀 위에 합판을 여러 장 덧대 아슬아슬하게 단지내를 오가고 있다. GS건설은 그러나 싱크홀 발생의 원인이 자사의 부실시공이 아닌 인근의 주택공사가 원인이라는 입장이다.

실제로 신대림 자이 아파트 인근 40~50m 거리에 K사가 대단위 아파트 공사를 진행중이다. 싱크홀의 원인을 K사가 제공했다는 것. 이에 대해 K사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자신들이 아파트 공사를 착공한 건 지난 2015년 7월인데, 현장실사 결과 등을 종합했을 때 이미 지난 2012경부터 싱크홀 발생 조짐이 나타나고 있었다는 것.

또한 GS건설 아파트와 자사가 시공중인 아파트 사이에 위치한 공원에는 싱크홀이 없을뿐더러 흙막이 차수벽의 깊이도 GS건설은 약 25m, 자사는 약 12m로 토목공학적으로 GS건설 아파트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논란이 계속되자 GS건설이 선택한 건 하자보수가 아닌 책임규명. 회사 관계자는 “지난 4일 입주자대표회의 주관으로 안전진단업체를 선정, 원인규명 후에 하자보수 공사를 시행하기로 K사와 합의했다”고 밝혔다. 해당구청이 현장 실사를 다녀간 뒤다.

건설업계 일각에서는 GS건설이 하자종결 기한을 넘겨 하자보수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주택법 시행령은 사업주체(건설사)가 부담해야할 하자보수의무의 종류와 기한 등을 규정하고 있는데 내력벽 등의 최장 하자보수기간이 10년이고, 최악의 경우 아파트 붕괴로도 이어질 수 있는 싱크홀이 여기에 해당한다는 주장이다.

GS건설의 신대림 자이 아파트는 지난 2007년 9월 준공된 것으로, 오는 9월 최장 하자종결 기한인 10년을 넘기게 된다. 이에 대해 GS건설 관계자는 “하자종결 기한을 염두에 두는 건 아니”라고 밝혔다.

 

한전 호주광산 지분 이전 논란, 현지에서 무슨 일이?

$
0
0
Tuesday, January 17th, 2017

사진/ ABC 뉴스 캡처

한전(사장 조환익)이 호주 바이롱 광산 지분 이전으로 수천억원의 손실을 보게 됐다는 기사가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본지가 지난해 보도한 관련기사가 재조명될 전망이다.

본지는 지난해 8월 “한국전력, 호주 바이롱밸리 광산 인허가도 취득 못했다”는 제하의 기사에서 현지 주민과 환경단체, 일부 정당 등의 반발로 바이롱 광산사업 진행이 난항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바이롱 광산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지난해 호주 법원은 한전이 제출한 탄광탐사 허가 신청서에 허위 사진을 첨부했다가 기소된 사건에서 한전측의 손을 들어 줬다. 법원은 한전측에도 재발방지를 내용으로 하는 이행명령을 내렸지만, 여론의 뭇매를 피하지는 못했다.

머지(Mudgee) 인근 바이롱 밸리 시추 예정 부지의 소유주는 한전이 제출한 현장 사진이 실제로 탄광사업을 할 예정인 장소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호주 정부에 이와 같은 사실을 알렸다.

토지 소유인 크레이그 쇼(Craig Shaw) 씨는 1년 전에 이 같은 사실을 호주 산업성(Department of Industry)에 알렸고,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한전의 탄광 탐사 허가권은 중지됐다.

쇼 씨는 “문제의 핵심인 한전이 그릇된 허위정보를 제공했음을 인지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검찰 측이 광물법 위반으로 기소하려고한 최초의 시도였다는 사실과 그리고 이렇게 맥 빠지게 검찰 측의 노력이 무산된 것은 지극히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녹색당, 한전·호주 정부 동시에 비난

녹색당은 한전과 정부를 싸잡아 비판했다. 녹색당은 “한전이 거짓말을 하고도 처벌 받지 않고 위기를 모면케 됐다”며 “주 정부가 한전과 컨설팅사인 월리파슨스(Worley Parsons)사가 기소돼 11만 달러의 범칙금을 물게 하는 대신, 강제이행각서(Enforceable Undertaking)에 동의하도록 하고 일을 졸속 마무리 지었다”고 비난했다.

또한 “앤소니 로버트 장관이 본질적으로 한전이 거짓말을 하고도 그냥 넘어가게 해 줌으로써 광업법을 훼손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호주 NSW주 총리가 이끄는 주정부가 광업에 반대하는 사람들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면서 광업 회사들이 노골적인 속임수를 저지르고도 솜방망이 처벌을 내리고 잘못을 묵과했다”고 성토했다.

현지언론은 호주에서는 이번 조치가 광업법 준수와 집행에 관한 끔찍한 선례를 남김으로써, 차후 어떤 범죄 예방 효과를 상실케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독특한 자연환경인 바이롱 밸리를 탄광으로 바꿔버리려는 계획에 호주 사회가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고 전했다.

호주자연보호연합회 락더게이트(Lock the Gate) 헌터지역(Hunter Region) 코디네이터인 스티브 필립스 씨는 이번 결정에 대해 “주 정부의 수치스런 직무유기에 해당한다”며 “한전이 거짓말을 하고도 처벌받지 않는 상황에서 앞으로 왜 진실을 말해야 할 필요를 느끼겠냐”고 반문했다.

당시 한전은 “컨설팅사가 시추허가를 받기 위해 실수로 다른 사진을 넣은 것”이라며 “사안이 경미하다고 판단한 호주 산업성이 우리에게 재발방지를 약속받고 소송을 취하한 것”이라고 본지에 해명했다.

South Korea's Top five scientific issues in 2016

$
0
0
Monday, January 16th, 2017

1.Baduk, the greatest human skill

Lee sedol vs alphago

Google Deepmind Challenge match was a go match between Lee Se-dol and AlphaGo, an AI Go program developed by Google Deep Mind. Held in Seoul from March 9 to 15, 2016, the players played one game a day, over a total of five days.  The AI program’s 4 to 1 win has made it the best Baduk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In 1997, IBM's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Blue" won against world chess champion Garis Kasparov, 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Watson" won the US Quiz program by winning the championship title, but this was the first time that a human was beaten by a program. 

2.Construction of 4th Generation Synchrotron Accelerator 

A fourth-generation synchrotron radiation device, called the dream equipment, was built at POSTECH's Pohang Research Institute in Pohang, Gyeongsangbuk-do Province for only the third time in the world. The 4th Generation Synchrotron Radiation Accelerator is a state-of-the-art device capable of analyzing ultrafine matter, such as living cells and proteins, at a rate of 1,000 times faster than the existing three generations with a brightness of 100 million times.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fields such as identification of the cause of diseases through observation of living cells.

3.Overseas orders exceeding 500 billion won through ITER project

 Source: National Fusion Research Institute

Overseas orders totaled over KRW 500 billion through the joint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ITER). Korea has been working with six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Russia, the European Union, Japan, China, and India in an effort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mass production of energy through fusion. It is under construction.
Under the 7-country Joint Implementation Agreement, the ITER organization and 7 countries in charge of the project. Korea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TER project based on its experience in constructing KSTAR (Korean Superconducting Nuclear Fusion Research Equipment), the world's most precise fusion experiment equipment.

4.Einstein predicts 100 years of gravitational wave direct detection

Another me in the multiverse: Source: ESA

Scientists have confirmed the presence of gravitational waves claimed by Albert Einstein 100 years ago. The NSF and the Advanced Laser Interferometry Gravitational Observatory (Lago) LIGO research team held a press conference at the Washington DC Foreign Correspondents Club on February 11 on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of gravitational waves believed to distort space and time. Indirect evidence of gravitational waves has been found, but it is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human science that direct detection has been accomplished. Despite myriads of challenges over the last 100 years, no one has ever been able to detect gravitational waves directly. Domestic researchers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is gravitational wave detection. Since 2009, more than 20 physics, astronomy, and computer experts from the five universities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National Institute of Mathematical Sciences formed the Korea Gravity Research Partnership (KGWG) and provided critical information.

5.Humidifier disinfectant lawsuit

The humidifier disinfectant case is an ongoing domestic case brought on by the deaths or lung disease caused by a humidifier disinfectant ingredient contained in the mist of the humidifier. Victims have had fibrosis in their lungs due to using the disinfecta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Health Civic Center, 239 deaths and 1528 cases of severe lung disease were reported in the worst chemical disaster in Korea's history. The disinfectant (cleaning agent) caused symptoms of lung injury (airway damage, dyspnea, cough, and rapid lung damage). Many of the victims were infants, children, pregnant women, and the elderly. The prosecution concluded that four products including Oxy, contained the toxin.

 

 

EBRD supports small businesses in Tunisia

$
0
0
By Nibal Zgheib
Tuesday, January 17th, 2017

Photo copyright: EBRD)

The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EBRD) is providing a TND 25 million senior unsecured loan to the Compagnie Internationale de Leasing (CIL) for on-lending to local micr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SMEs) in Tunisia.

The funds will help CIL finance MSMEs, which are very important to the Tunisian economy but remain largely underserved. It will also provide long-term funding to a leasing company in a country where liquidity has been an issue since 2011. CIL will use the funds to extend leases to MSMEs for the acquisition of equipment, light commercial vehicles, trucks, trailers and real estate.

The EBRD has recently established a source of funding in Tunisian dinars, which allows it to provide loans in local currency without requiring hedging. This loan to CIL is the second to be provided by the EBRD under this new facility.

Marie-Alexandra Veilleux, Head of the EBRD office in Tunisia, said: “MSMEs are the backbone of the Tunisian economy and we are very happy to provide this much-needed long-term funding to CIL to finance and develop smaller enterprises. With over 20 years of experience, CIL is a strong partner for the EBRD’s engagement in Tunisia’s leasing sector.”

Chairman of the CIL Board and Managing Director Mohamed Brigui said: “We are delighted to enhance our partnership with the EBRD to further support MSMEs in Tunisia. Through this loan, we will aim to provide financing to a larger number of small businesses across the country.”

CIL is the country’s largest independent leasing company not affiliated with a bank. It is listed on the Tunisian stock exchange and majority-controlled by a group of local investors.

Since September 2012, when EBRD operations in Tunisia began, the Bank has invested €350 million across 25 projects in the country.

The key ICT trends and insights this week

$
0
0
Wednesday, January 18th, 2017

(Image copyright: ITU News)

ITU News, 18, January 2017/ Korea IT Times--The Broadband Commiss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hosting a Special Session at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in Davos, Switzerland. Meanwhile, here are your other key ICT trends and insights this week: Read about Apple's new original content plans, Ericsson's new CEO and will China have an AI boom?

Spotlight
Top 5 AI trends for 2017: This year's top artificial intelligence (AI) trends will be about far more than technology. We can expect more debate on AI's social and economic impacts - and more action on leveraging AI for social good. [ITU will co-host the first AI for Good Summit in June with IBM Watson AI XPRIZE.]

ICT Trends
Content: Apple's new original content plans highlight growing ICT-media industry convergence, a trend that has important global implications for connectivity in emerging markets.

China's AI boom? Baidu has appointed former Microsoft executive and AI expert Qi Lu as its new chief operating officer. AI is a new focus for Chinese venture capital investments after a record 2016, according to KPMG. And here's why China may have an edge in AI.

Cybersecurity: 2017 will see more IoT-based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 attacks, according to a new warning from global cybersecurity firm Sophos. Meanwhile, Level 3 becomes one of the latest telcos to boost security against botnet DDoS attacks.

SDN/NFV: Amdocs joins forces with the Linux Foundation to accelerate the global adoption of the open source ECOMP platform developed by AT&T in collaboration with Orange.

IN CASE YOU MISSED IT...
Quality/Performance: New ITU standard provides basis for high-quality Voice over LTE and Video-telephony over LTE. [Join a related webinar on Thursday, 19 January!]
Infrastructure: Reliance Jio plans $4.4 billion injection into 4G network.
Connectivity: Google's parent company killed its solar-powered internet-drone program as part of cutbacks, but is keeping Project Loon.
Big Data: More than 40% of data science tasks will be automated by 2020, according to Gartner.
Connectivity: Amazon is asking the US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on (FCC) for permission to run wireless tests. Is it preparing for drone services?

Insights
Where's the trust? As security and privacy rise as critical issues in today's ICT landscape, trust is essential. Yet, trust in ICTs is up against a backdrop of a broader 'global implosion' of trust in business, government, NGOs, and the media, according to the 2017 Edelman Trust Barometer.

10 key tasks for Ericsson's new CEO, Börje Ekholm, after a tough 2016 for the company. Light Reading's Ray Le Maistre lays out 10 key tasks for Mr. Ekholm on everything from 5G to IoT to cybersecurity to Ericsson's partnership with Cisco.

Apple’s new original content plans highlight growing ICT-media convergence

$
0
0
Wednesday, January 18th, 2017

Apple music2(Copyright: ITU News)

ITU News, January 18, 2017/ Korea IT Times--Apple has new plans to create its own original content by courting Hollywood producers and television executives, according to a Wall Street Journal report that is making waves in the tech and media industries.

Rather than competing with the likes of Netflix, the move appears to be aimed at driving subscriptions to the USD 10-per-month Apple Music service to diversify revenue after global smartphone sales worldwide have plateaued this past year. (Apple Music has reached 20 million subscribers in less than two years, but trails rival Spotify, which has roughly double that amount. Adding TV-like video should help Apple Music attract more subscribers.)

The move reflects the rapidly increasing convergence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media industries.

Similar to the convergence of ICT and financial services and ICT and the auto industry, the media-ICT convergence is being powered by the explosive global growth in the use of mobile devices, particularly the rising demand for data-intensive video streaming.

The key role of content

Realizing the power of high-quality, locally relevant content to attract and retain customers, ICT companies are increasingly scrambling to capitalize on this growing demand by acquiring, merging or partnering with media companies.

The proposed USD 85.4 billion mega-merger between AT&T and Time Warner is a prime example. As we mentioned last month, if approved, it could trigger a wave of media-communications consolidation that helps give cable and wireless providers the content they need to innovate more quickly as they launch new mobile and digital services needed for growth.

RELATED: AT&T-Time Warner merger: What are the global implications?

The media-ICT convergence will also have important global implications, including in many emerging markets where lack of locally relevant content is sometimes crucial to connecting the unconnected.

Will Apple’s new content gambit succeed?

Apple has long toyed with different ways to enter the entertainment business and, according to some tech analysts and columnists, it may have found its way with this HBO-like model it will reportedly roll out.

Apple Inc. appears to have finally figured out how to become an entertainment programming company — and it didn’t have to buy Netflix or Time Warner to do it,” writes Bloomberg tech columnist Shira Ovide, a former reporter for the Wall Street Journal, who lays out some of Apple’s previous forays into media and content. “This time, Apple is trying to become HBO, not Netflix and not a cable company. Think about it: HBO is an enviable media business thanks to a handful of buzz-generating shows for which people are willing to pay $15 a month to add to their cable TV lineup or their internet programming bill. Apple’s choice of a similar path has the benefit of not requiring the cooperation of wary big media companies. And an HBO-like video offer is ideally suited to the profound shift in media consumption away from traditional TV and toward smartphones. It’s also far less expensive than than the $60 billion or more it would take to buy Netflix.”

Others, however, are less impressed with Apple’s new gambit, arguing that successful moves into content require substantially more focus and investment.

“According to the WSJ report, Apple will not spend the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it would take to really make content competitive with streaming top dogs like Netflix and Amazon—to say nothing of HBO,” writes Michael Nunez in Gizmodo. “If the success of Amazon and Netflix programming has taught us anything, it’s that the only way to make good video content is to go all in.”

Others say Apple is late to make such a move.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is is a meaningful move into original content, a space where you’ve already got firm No. 1, Netflix, and Amazon pouring in billions of dollars,” Colin Gillis, senior technology analyst and director of research at BGC Financial, told CNBC. “Apple clearly is late.”

Related – Netflix in SE Asia: Lessons for OTT players?

That remains to be seen, but the increasing convergence of the ICT and media industries is a trend that we’ll be watching as it has tremendous implications for the types of services that will be delivered, the ability to connect to new audiences, and even the types of networks built to power the new data-intensive customer demands.


This is Why China Has the Edge in Artificial Intelligence

$
0
0
By Lee Kai-Fu, Chairman and Chief Executive Officer of Sinovation Ventures
Wednesday, January 18th, 2017

Lee Kai-Fu

The Korea IT Times release a transcript of article by Lee Kai-Fu,Chairman and Chief Executive Officer of Sinovation Ventures.
The article is about the time is right to open a Pandora’s Box for laboratory AI, introducing it to solve real business needs and address real-world problems.
The article highlights in the next decade, more than 50 percent of jobs in the world will be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decades of lab research,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finally coming to its anticipated fruition. The time is right to open a Pandora’s Box for laboratory AI, introducing it to solve real business needs and address real-world problems. It is also the time for some scientists in the field to consider starting their entrepreneurial journey.

I estimate the AI market potential will be 10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mobile internet revolution we have witnessed thus far.

In the next decade, more than 50 percent of jobs in the world will be replaced by AI, ranging from translators, editors, assistants, stock traders, securities, drivers, salespeople, customer service reps, accountants, nannies and so on.

In the next decade, more than 50 percent of jobs in the world will be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e Five Building Blocks of AI Development

AI development requires five building blocks: massive data, automatic data tagging systems, top scientists, defined industry requirements and highly efficient computing power. All of these are now tangible and available, because of the rise of the Internet, mobile, big data and computing processing capabilities in the past 10 years.

So what are the next steps that need to happen? To start, we need to identify industries with an enormous amount of data. Better yet, the data itself should be as closed-loop and as massive as possible.

Then we need lots of computers, especially those with a combination of a high performanc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high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Most importantly, we need great scientists specialized in deep learning, coupled with a group of young engineers eager to learn, experiment and solve problems. I am confident that graduates from the top universities for computer sciences, mathematics, applied mathematics, statistics, electronics or automation, are trained with the essentials to further develop AI skill sets. With guided training, they would be able to perform within six to nine months.

I would suggest a few guiding principles for the fast-growing commercial adoption of AI. First, we should see AI as a tool to assist humans, not to replace them. I also believe AI will benefit business, rather than homes or more personal scenarios, in real commercial terms.

We should also design a user or customer interface that can display a lot of results, as we use AI to help us learn faster and make better decisions, but not expect a single answer. Furthermore, the requirement of data,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s indefinite. We need to encourage users and customers to provide data and feedback on an ongoing basis. We also need to design mechanisms to continuously capture, update and learn from new data as a living organism.

Finally, a well-defined area of focus should be set, usually a narrow one, for the problem you are trying to solve. Do not dream of inventing a superpower technology on day one.

I foresee China as a critical hub in the global development of AI. It offers a number of conditions that are suitable for creating world-class companies in the AI field:

Talent pool. Chinese researchers are already savvy in AI. In 2015, 43 percent of the top academic papers relating to AI were published with one or more Chinese researchers, regardless of where in the world the work was primarily conducted. Chinese people are proud of their mathematics, engineering and science training. An influx of high caliber young talent has and will become the quintessential foundation of any new industry.

Traditional industries. Today, we meet many traditional Chinese companies lagging behind U.S. enterprises in terms of the level of technological adoption. But these companies have data and money, and are eager to invest once AI experts present them with the opportunities to grow their business or make bigger savings.

Internet market. China has one of the world’s largest Internet markets with around 800 million connected users and many internet companies. Often when non-AI technology companies grow to a certain size, they need to explore AI in order to upgrade and scale.

Closed yet open. Despite the fact that U.S. companies are now leading AI development around the globe, there are visible barriers to entering the Chinese market. The Chinese market will need local solutions and providers. In contrast, policy around AI in China is relatively more open for experimentation and solutions.

With the advent of AI, humans can finally be liberated from mechanical tasks and devote their time to more intellectual, creative and productive explorations. AI technology presents the greatest opportunity in human history and I encourage you to pay attention to what is happening in China.

(This article appeared on the World Economic Forum’s Agenda blog and BRINK ASIA)

Lee Kai-Fu
Chairman and Chief Executive Officer of Sinovation Ventures
Lee Kai-Fu is chairman and CEO of Sinovation Ventures. He holds a PhD from Carnegie Mellon University. Formerly he held senior positions with Microsoft, SGI and Apple. He was President, Google China, where he saw its market share almost double from 2006 to 2009. In 2009, he founded Sinovation Ventures.

Former Microsoft executive and noted AI expert Qi Lu joins Baidu as COO

$
0
0
Wednesday, January 18th, 2017

Dr. Qi Ru(Photo Source:TechCrunch)

The Korea IT Times release a transcript of article by TechCrunch. The article has explaining China’s internet giant Baidu has beefed up on its AI talent after it announced the hiring of former Microsoft executive Qi Lu as group president and COO. Dr. Lu reported directly to Microsoft Chief Executive Officer Steve Ballmer. Dr. Qi Lu has also served as executive vice president of engineering for Search and Advertising Technology

Chinese search giant Baidu is looking to further entrench itself in the world of augmented reality, announcing that it is establishing an AR lab to research and build experiences that more tightly integrate the digital experiences we have on our devices with the world around us.
The institution is the fourth such lab to be established under the Baidu Research division, joining the company’s Big Data Lab, Silicon Valley Lab and the Institute of Deep Learning, which the AR Lab is spinning out from. In September, the company unveiled a $200 million venture fund focused on making investments in companies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gmented reality.

Just a day after it opened an augmented reality lab, China’s internet giant Baidu has beefed up on its AI talent after it announced the hiring of former Microsoft executive Qi Lu as group president and COO.

Baidu is best known for its search engine, which dominates in China, but over the past two years it has put focus on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ncludes self-driving cars and more. In that respect, the hiring of Lu — who exited Microsoft last year on medical grounds — is a major coup.

Lu most recently ran Microsoft’s applications and services business, and previously headed up the Redmond-based company’s search division having joined in 2009 following an 11-year stint with Yahoo. Fun fact: While with Microsoft, he championed a bid for Slack, but ultimately CEO Satya Nadella and co-founder Bill Gates decided against it.

At Baidu, Lu will be responsible for products, technology, sales, marketing and operations, and particularly lend his expertise to the company’s AI push.

Lu, who holds a PhD in computer science from Carnegie Mellon and has over 40 U.S. patents in his name, joins a team that includes former Coursera chairman Andrew Ng, who is chief scientist at the Baidu Research center in Silicon Valley.

“Dr. Lu possesses a wealth of leadership and management experience, and is a leading authority in the area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idu chairman and CEO Robin Li said in a statement.

“To achieve our goals, especially in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a key strategic focus for the next decade, we will need to continue attracting the best global talent. With Dr. Lu on board, we are confident that our strategy will be executed smoothly and Baidu will become a world-class technology company and global leader in AI,” Li added.

 

IoT based DDoS attacks to rise in 2017

$
0
0
By IANS of The Indian Express
Wednesday, January 18th, 2017

The Indian Express, January 18, 207/ Korea IT Times--Cybercriminals will use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 attacks in 2017 to extend their reach as there are now several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containing outdated codes and operating with well known vulnerabilities, a global security firm warned on Monday.
According to Sophos, global network and endpoint security firm, financial infrastructure is at greater attack risk as the use of targeted “phishing” and “whaling” continues to grow.

“Security is now high on the radar for the security C-suites. Unfortunately, many organisations still do not have their security basics right and remain vulnerable to cyberattacks,” said Sunil Sharma, Vice President (Sales) Sophos, India and Saarc.
Cybercriminals will use ever more sophisticated and convincing targeted attacks to lure users into compromising themselves by bringing together multiple technical and social elements and probe an organisation’s network to proactively attack a specific target.
With ‘old’ ransomware looming around web, users may fall victim to attacks that cannot be cured because payment locations no longer work, the report noted.

“There are six key measures that organisations should put in place to help keep more complex threats at bay: move from layered to integrated security; deploy next-generation endpoint protection; prioritise risk-based security; automate the basics; build staff and process to deter mitigate social attacks; and improve defender coordination,” Sharma added.
Using cameras and microphones to spy on households, cyber criminals may target people using home IoT devices to find a way to profit.
“But once attackers ‘own’ a device on a home network, they can compromise other devices such as laptops containing important personal data,” the report added.

CIA director warns Donald Trump to watch what he says, be careful on Russia

As encryption makes it hard to inspect traffic, criminals can use it as a cover to sneak through a network.
“Security products will need to tightly integrate network and client capabilities, to rapidly recognise security events after code is decrypted on the endpoint,” Sophos suggested.
The company predicted that in 2017, societies will face growing risks from both disinformation and voting system compromise, as technology-based attacks have become increasingly political.

오롤리아-사텔사와의 파트너십 체결

$
0
0
사텔사의 STL 기술 체결로 리질리언트 PNT (포지셔닝, 내비게이션, 타이밍) 솔루션 강화
Wednesday, January 18th, 2017

(Photo source:OROLIA )

리질리언트 PNT솔루션의 세계적인 리더인 오롤리아가 사텔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오롤리아(www.orolia.com)사의 자본참여를 포함한 이번 협약은 사텔(www.satellesinc.com)의 STL 기술에 기반을 둔 PNT솔루션의 개발 및 상업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사텔의 독창적인 STL 기술은 전통적인 GPS나 GNSS 위성 신호와 달리 독립적으로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PNT 기술이라고 알려졌다.

오롤리아가 이 STL 기술을 채택하게 되면서 이미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오롤리아의 두 솔루션인 스펙트라컴(Spectracom)과 맥머도(McMurdo)는 GPS/GNSS 신호 교란 문제(스푸핑, 간섭 및 방해)에 있어 새로운 대응책과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NT 데이터의 신뢰도와 정확성은 여러 방면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군사, 방위, 정부, 기업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중요시 되고 있으며, 항해/항공 항법, 선박, 비행의 추적, 수색, 구조, 데이터센터의 운영 등에도 반드시 필요한 정보이다.
이번 협약에 있어 오롤리아의 회장인 장-이브 쿠르투아 박사는 “현 시대는 점점 이동이 많아지는 만큼 위험부담이 큰 사업이나 인명구조 활동에서는 더욱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위치, 시간, 항법 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라며, “오롤리아가 사텔의 STL 기술로 GPS/GNSS 솔루션을 강화함에 따라 최초로 가장 안전한 리질리언트 PNT 솔루션을 선보이게 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기술에 대해서 “PNT데이터의 정확성, 유용성, 안정성에 아주 작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 및 통신 시스템 장애, 구조활동의 실패, 더 나아가서 인명손실을 야기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분야에 매우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이라고 소개했다.

사텔의 STL신호는 이리디움(Iridium®) 의 자체 위성에 기반을 두었으며 GPS/GNSS 신호보다 천 배 이상 강한 세기를 자랑하여 신호 방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호가 건물 안이나 접근이 힘든 장소에도 쉽게 도달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STL 신호의 강화된 암호 보안은 생산성, 성능, 보안 면에서 최고를 보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텔사의 대표이자 마이클 오코너 박사는 “사텔의 혁신적인 STL 기술은 언제든지 접근 가능하고 정확하며 안전한 데이터(위치, 항법, 시간)를 제공함으로써 오롤리아사의 리질리언트 PNT 기술을 완벽하게 보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앞으로 오롤리아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화답했다.

대륙의 제동 '한한령‘ 불구...한류 콘텐츠 여전히 인기

$
0
0
Wednesday, January 18th, 2017

사진/ 웨이보 캡처

한국의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으로 대중문화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당초 한국과 중국 동시 방영을 추진해 왔던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는 한한령 발효 이후 중국 내 심의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지난해 10월 말쯤으로 예정되었던 편성을 이달 26일로 변경하는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지난해 7월 8일 한미 양국의 한반도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시스템, THAAD) 배치 발표 이후 드라마와 영화, 케이팝은 한류 콘텐츠 수출의 30%를 차지하는 중국시장에서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의 역풍을 맞고 있다.

중국 미디어를 총괄하는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광전총국)이 한한령을 공식 문서로 하달하지는 않았지만 현지 업계에서는 한류금지령 발동이 공공연한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한한령이 ‘민간 차원에서의 대응’이라는 중국 정부의 주장과는 달리 몰래 한류 콘텐츠를 찾아보는 ‘민간 차원에서의 소비’가 줄어들고 있지 않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흥미를 끌고 있다.

최근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 카페24가 중국 검색 포털사이트 바이두(百度)가 제공하는 ‘바이두 지수’를 분석한 결과 한한령이 수면 위로 올라온 지난해 하반기에도 한류 콘텐츠에 대한 검색 빈도가 줄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두 지수는 바이두 이용자들의 특정 키워드 검색 빈도를 측정해 수치화한 것으로 이 기간 ‘한국 드라마’의 연평균 바이두 지수는 2만6천207포인트로 '미국 드라마'(1만4천653포인트)나 '일본 드라마'(4천909포인트)보다 높았다.

1분기 내내 3만 포인트를 웃돌던 '한국 드라마'키워드에 대한 월별 바이두 지수는 2분기 2만1천∼2만3천포인트 대로 떨어졌으나 3분기 다시 2만8천∼2만9천포인트 대까지 올라섰다. 또한 11월에는 2만1천610포인트로 주춤한 모습을 보였으나 12월에는 다시 2만8천642포인트로 회복되었다.

‘한국 영화’ 바이두 지수 역시 4∼6월에는 4만2천∼4만3천포인트를 보이다 가을쯤 주춤했으나 12월에는 4만1천973포인트로 급등했다.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 국내에서 방영을 시작한 드라마 '도깨비'와 '푸른 바다의 전설'은 중국 내에서 공식적으로 방영이 금지되었다. 중국 유력 동영상 업체가 ‘푸른 바다의 전설’을 역대 최고가인 회당 100만 달러(약 12억 원)에 수입하기 위해 국내 제작사와 협의를 진행하다가 한한령 여파로 중단하는 등 드라마 수출길이 차단됐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중국 네티즌들은 인터넷과 SNS 등을 통한 해적판 형태로 두 드라마를 몰래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두 지수에 따르면 연말까지 ‘푸른 바다의 전설’이 55만6천154포인트, ‘도깨비’가 16만7천172포인트로 중국 드라마를 포함한 전체 드라마 검색 순위에서 각각 4위와 7위를 기록했다.

‘푸른 바다의 전설’은 현재 한국에서 방송되고 하루도 지나지 않아 중국어 자막까지 완벽하게 더해진 드라마 영상이 등장하고 있다. 불법으로 녹화한 드라마 영상에 자막을 붙여 동영상 사이트에 올리거나 불법 다운로드 사이트, SNS를 통해 공유하는 것이다.

출연작이 정식 방영되지 못했음에도 ‘도깨비’의 주역인 배우 공유는 중국 인터뷰 사이트 ‘도우반(豆瓣)’이 지난해 말 실시한 인기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다. 중국판 페이스북인 '웨이보'에는 드라마 속 공유처럼 자신의 가슴에 도깨비 검을 합성한 사진이 다수 게재되기도 했다.

이처럼 한한령을 비웃듯 한류 컨텐츠의 검색 빈도가 여전히 높은 것은 중국 정부와 중국인들의 ‘체감 한류’에 대한 큰 온도 차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정부 차원에서 한류 콘텐츠 유통을 막고 있지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P2P사이트를 통한 한류콘텐츠 확산은 한한령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있는 것.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최근 펴낸 ‘중국 Go West 전략’ 보고서를 통해 “한한령으로 한류 마케팅이 타격을 입었다고는 하지만 이는 온라인이나 모바일을 통한 한류 콘텐츠의 전파력을 간과한 것”이라며 “중국 네티즌은 한국 사이트 및 어플리케이션에 직접 접속하여 구매 또는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가 많아 인터넷 사용이 원활한 중국에서 한류마케팅의 확산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Viewing all 13550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Latest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