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KOREA – On Wednesday, Pantos Logistics Shanghai (a global service provider based in Seoul) said it has become the first Korean logistics company to win the AEO (Authorized Economic Operator) program’s highest rating “AA” from the Chinese Customs Authorities. The AEO program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devised by the World Customs Organization (WCO) in response to reinforced trade safety measures in the aftermath of the 911 tragedy. Becoming the only Korean logistics company that has received the highest “AA” rating, Pantos Logistics is now internally acknowledged for its excellence in trade safety management systems.
Thanks to the winning of the highest AA rating, Pantos Logistics will enjoy a variety of customs-related benefits like simplified paper submissions for cargo clearance, a reduction in inspection rates, etc. Besides, Pantos Logistics will get the same benefits in nations that have forged an AEO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with China. Pantos Logistics also won AEO certification from Germany and the Netherlands in 2011 and from Poland in 2012.
Sean Chung (hbpark@etnews.com)
**Article provided by etnews [Korea IT News]
[Reference] : http://english.etnews.com/electronics/2715655_1303.html
범한판토스, 업계 최초 중국 AEO인증 최고등급 획득
종합물류기업 범한판토스(대표 배재훈)가 업계 최초 중국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공인업체(AEO)` 최고 등급 인증을 획득했다고 6일 밝혔다.
범한판토스 상해법인은 중국 세관당국으로부터 AEO인증 최고 등급에 해당하는 `AA`등급을 획득했다. AEO인증은 미국 `9.11테러` 이후 강화된 무역안전 조치를 수용하기 위해 세계관세기구(WCO)가 고안한 국제 표준이다. 회사는 한국계 물류기업 중 유일하게 이 등급을 획득해 수출입 안전관리체계의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공인받았다.
이번 인증 획득으로 범한판토스는 중국 수출입 화물 통관 시 서류 제출 간소화, 검사 비율 축소 등 다양한 관세행정상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또 중국과 AEO 인증 상호인정협정이 체결된 국가의 세관에서도 동일한 혜택이 적용돼 통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등 다양한 직간접적 효과를 얻게 됐다. 회사는 지난 2011년 독일과 네덜란드, 지난해 폴란드 등 유럽지역에서도 업계 최초 AEO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범한판토스 관계자는 “선진 물류시장인 유럽에 이어, 최대시장인 중국에서도 글로벌 물류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공인받았다”며 “이번 인증을 통해 해외 164개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국제물류 사업에서 더욱 신속하고 안전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AEO인증은 각국 관세당국이 법규준수, 내부통제시스템, 안전관리, 재무건전성 등을 엄격히 심사해 일정 자격을 갖춘 수출입 및 물류업체에 부여하는 공인 인증이다. 중국에서는 `해관 기업분류 관리방법`이란 제도를 통해 AEO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5개의 등급으로 기업을 분류한다.
김창욱기자 monocl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