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IT Times - Daily News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3550

Experts Voice Ideas at Creative Economy ICT Convergence Forum

$
0
0
Friday, April 19th, 2013

Seoul, Korea - The Creative Economy ICT Convergence Forum hosted by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TRI) and the ET News was held at the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on the 18th. 

At the Forum, Professor Sungeun Kim of DaeJeon University claimed, “the portfolio must be balanced by making sure the results of national R&D projects get commercialized.” Professor Kim went on to point out, “of the KRW 18 trillion R&D budget, only 2% of it is used for commercialization. If this problem is left unsolved, the national R&D system that must cover the whole R&D lifecycle will be left incomplete.” 

Yoonjong Jang, the chief of Center for Growth Engine Industries a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stressed, “the ICT’s influence to society is growing larger day by day, and the ICT strategy with greater impact must be established at the national level.” 

Jang went on to point out that, “the past administrations had come up with various growth models, but all of them were on the same framework of growth driven by the large-corporations with some additional models on the side. The new administration must understand that such initiatives ended up as a failure, and must carry out its promises starting from a clean slate.” 

창조경제 ICT 융합포럼 "국가 R&D, 기술사업화에 투자 집중해야"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국가 투자가 기술사업화 분야에 집중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선근 대전대학교 교수는 18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전자신문 주최로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창조경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포럼`에서 “국가 연구개발(R&D) 성과의 사업화 부문을 강화해 포트폴리오 불균형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초과학-R&D-사업화로 연결되는 현재 구조에서 투자가 R&D 단계에 집중되면 선순환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18조원 규모 R&D 자금 중 사업화에 투입되는 자금은 2% 남짓”이라며 “이를 개선하지 않으면 전 주기적으로 운영돼야 하는 국가 R&D 체제가 여전히 미완성으로 남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새 정부가 인력, 펀드 등 기술사업화를 위한 필수요소를 구축하고 국가 R&D 체제를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벤처 초기 창업단계를 지원할 펀드와 기술사업화 전문 인력을 키워야 한다는 설명이다. 

ICT가 창조경제 선발대가 돼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장윤종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연구센터 소장은 “ICT의 사회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며 “국가 차원에서 큰 임팩트를 줄 수 있는 ICT 전략을 발굴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정 소장은 빅데이터, u헬스, 방통융합 등을 ICT 융합 과제 예시로 들었다. 

생태계, 창의, 융합 등 창조경제 핵심 키워드에서 더욱 구체적인 전략과 과제를 제시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장 소장은 “지난 정부들도 다양한 성장 모델을 들고 나왔지만 기존 대기업 주도 모델에 부가적으로 새 모델을 병행한 것이 결국 실패로 이어졌다”며 “현 정부는 새 판을 짠다는 전제로 인수위 시절에 밝힌 청사진을 분야별로 구체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명애 ETRI 부장은 “ICT를 기반으로 다른 종류 산업이 협업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상품,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것이 융합”이라며 “단순기술융합 위주 산업에서 벗어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 등이 엮인 생태계 창조형 R&D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포럼 주요 참석자들은 ICT와 창조경제 간 유기적 결합이 필요하다는 바람을 피력했다. 김흥남 ETRI 원장은 “최근 글로벌 저성장세로 인해 국가 중장기 성장 잠재력이 위협받고, 기술-산업 간 융합목표 부재 등 성장 동력을 잃어가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러한 상황에서 ICT 융합이 국가 창조경제 실현의 구체적 선제적 방안이 될 것”으로 확신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Article provided by etnews [Korea IT News]

[Reference] : http://english.etnews.com/policy/2752595_1302.html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3550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