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IT Times - Daily News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3550

KT’s Ucloud Biz Helps Reduce CO2 Emissions

$
0
0
Tuesday, April 23rd, 2013

SEOUL, KOREA – KT's ucloud biz, S. Korea’s first public cloud computing service launched in 2011, has surpassed the 3,000 mark in the cumulative number of user companies in two years.
Over 3,000 companies have borrowed virtual servers rather than installing physical servers, thereby cutting carbon emissions annually to a degree that can compare with the environmental effect of planting 100,000 pine trees.
According to KT, since the launch of KT's ucloud biz in March 2011, over 3,000, have opted for KT's ucloud biz, putting 45,000 virtual servers to use. When 45,000 virtual servers are converted into physical ones, a least 1,875 racks (a unit of measure used for switches connecting servers) are needed, which will fully take up a football field of about 7300㎡. Cloud infrastructure’s virtualization technology can reduce the size by 22-fold to 330㎡.
Energy consumption has also been slashed. 45,000 virtual servers consume 7GW energy annually while 124GW energy would be consumed in a non-virtual manner. On the environmental front, the installation of 45,000 virtual servers translates into a reduction of 55,000 tons in carbon emissions, the equivalent of the effect from planting 100,000 pine trees.
The spread of cloud computing goes beyond simply saving money in installation costs. Since small-sized venture capital firms have easy access to an array of additional services, such as big data analysis and customized security services which would otherwise be very costly for small companies, cloud computing helps venture companies venture into new territory. 
A case in point is GenomeCloud, a service designed for human genome analysis launched under KT Group. Generally speaking, a building of huge IT infrastructures is a prerequisite for genome researches since they necessitate big data analyses. “If a single company tries to conduct genome researches, it has to spend hundreds of millions of won on purchasing servers. By tapping into KT’s cloud computing system, we can do data analyses at a much lower price,” said the head of GenomeCloud.
“KT’s cloud business is expected to skyrocket over 300% this year. We will focus on delivering “custom-tailored cloud services” by guaranteeing great performance, sustainability and security and a service that can automatically construct cloud computing resources in a short time,” said Seo Jeong-sik, head of KT’s cloud convergence taskforce.

Sean Chung (hbpark@etnews.com)

**Article provided by etnews [Korea IT News]

[Reference] : http://english.etnews.com/electronics/2715655_1303.html

KT `유클라우드 비즈` 출시 2년 "3000개 기업 이용•5만5000여톤 탄소 절감"
KT가 지난 2011년 출시한 국내 최초 퍼블릭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유클라우드 비즈`가 출시 2년만에 누적 이용 기업 수가 3000개를 넘어섰다. 3000여기업이 실제 서버를 구축하는 대신 `빌려 쓰는` 가상 서버를 이용하면서 저감한 연간 탄소 배출량은 소나무 10만 그루를 심는 효과와 맞먹는다는 분석이다.
22일 KT가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상용화 2주년을 맞아 분석한 현황에 따르면 2011년 3월 유클라우드 비즈 서비스 출시 후 2년동안 누적 이용 기업 수는 3000개에 달한다. 이들 기업이 사용한 가상서버의 수는 4만5000여대에 이른다.
4만5000대 서버를 가상 서버가 아닌 실제 물리 서버로 구축했다고 가정하면 랙(Rack•서버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설치하는 단위) 수만 최소 1875개가 필요하다. 축구장 1개 크기인 7300여㎡에 가득 차는 숫자다. 클라우드 인프라의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면 330㎡로 22배를 줄일 수 있다.
전력 소비량도 대폭 줄였다. 4만5000대 서버를 클라우드로 구축하면 연간 7기가와트(Gw)의 전력을 소모한다. 물리 서버로 구축했다고 가정하면 124Gw가 소모돼 18배를 줄인 셈이다. 탄소 배출량으로 전환해 계산하면 연간 5만5000여톤을 저감, 소나무 10만 그루를 심은 효과를 낸다.
클라우드 컴퓨팅 이용 확산으로 인한 효과는 단순히 서버 구축비용 절감에만 그치지 않는다. 소규모 벤처기업으로는 감당이 어려운 빅데이터 분석이나 맞춤형 보안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쉽게 이용하면서 신산업 영역의 벤처 기업 진출을 돕고 있다.
KT그룹 내 소(小)사장제 1호 기업으로 출범한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 `게놈클라우드`는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장점을 십분 활용했다. 일반적으로 유전체 연구에는 방대한 데이터 분석이 필수인데 이를 위해선 상당한 IT 인프라를 필요로 한다. 최대출 소사장(KT 팀장)은 “개별 회사가 자체적으로 게놈 분석 서비스를 하려면 서버 구입비용만 수억원에 달하는데 KT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으로 훨씬 저렴한 비용에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정식 KT 클라우드컨버전스TF장은 “올해 KT 클라우드 부문에서 300% 이상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며 “고성능•고안정성•보안 강화와 함께 클라우드 자원을 단시간에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는 서비스 등으로 `맞춤형 클라우드` 구현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KT를 비롯해 SK텔레콤•LG유플러스 등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갖춘 통신사 중심의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세계 1위 서비스인 아마존웹서비스(AWS)가 본격적으로 국내 사업을 준비하는 등 격변기를 맞고 있다. 올해 시장 규모는 1조9540억원, 2015년에는 3조31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정책은 활성화를 가로막는 `보수적인 관점`으로 유지되고 있어 본격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동욱 KISDI 원장은 “교육•의료•금융 등 기존 20개 법령의 `전산설비 구비 의무 규정`은 네트워크 자원을 빌려쓰는 클라우드 환경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며 “통신망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규제 완화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태호기자 thhwang@etnews.com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3550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