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3550

G2Touch to Mass-Produce GF1-Based TSP

Thursday, May 23rd, 2013

SEOUL, KOREA - G2Touch (represented by Lee Sang-ho) announced on May 22 that it started providing local Smartphone makers with TSP based on GF1, a technology of patterning an electrode only once onto the underside of a transparent electrode film.

As for the existing TSP, the coordinates could be read by pattering X-axis and Y-axis electrodes onto either the front or the back of Indium Tin Oxide (ITO), cover glass, or other different layers. GF1 method requires, however, only one pattering of one electrode, reducing the thickness of TSP and improving the yield value.

‘Driving Back’, a new technology developed by the company, enables calculating location coordinate values by connecting circuit to each coordinate unlike the previous one that calculates locations by delivering coordinates to both bezel electrodes. Using the technology, sheet resistance is about 150Ω and the minimum recognition area is 2㎟. And the production cost would drop by up to 60%.

The company also sai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realize a flexible TSP since a single-layered electrode patterning is made possible, as long as the cover glass is replaced with bendable materials such as a polyimide film or a reinforced plastic.


지투터치, 단층필름전극(GF1) 방식 TSP 양산... 플렉시블 TSP 상용화에도 한발짝

지투터치(대표 이상호)는 투명전극필름 밑면에 전극을 한 번만 패터닝 한 GF1 방식 TSP를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에 공급했다고 22일 밝혔다. 자사 구동칩과 TSP를 동시에 납품한다. 이 제품은 5인치 해외 수출용 스마트폰에 탑재된다.

기존 TSP는 x축·y축 전극을 인듐주석산화물(ITO) 앞뒷면이나 커버글라스 등 서로 다른 층에 패터닝 해서 좌표를 읽어들이는 방식이었다. GF1은 한 전극을 한 번만 패터닝 하면 돼 TSP 두께를 줄이고 수율 개선 효과도 볼 수 있다.

이 회사가 개발한 `드라이빙 백(Driving Back)` 기술은 좌표값을 양쪽 테두리(베젤) 전극으로 보내 위치를 계산하는 기존 기술과 달리 각 좌표마다 회로를 연결해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양쪽 베젤 부근에 따로 전극을 패터닝할 필요가 없어 제로 베젤도 구현할 수 있다. 면 저항은 150Ω 수준이고 최소 인식 면적이 2㎟다. 기존 전극 패터닝처럼 스퍼터링 방식을 사용해 공정 차이가 없지만 생산 원가는 최대 60%까지 낮출 수 있다.

회사 측은 필름에 단층 전극 패터닝이 가능해 커버글라스를 폴리이미드 필름이나 강화 플라스틱 등 휘어지는 소재로 대체하면 플렉시블 TSP 구현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성호 사장은 “현재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와 인셀(In-Cell) 방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공동 개발을 진행 중”이라며 “올해 연말에는 플렉시블 터치 디스플레이 양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능동형(AM)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나 LCD 패널의 상단 유리커버(캡 글라스) 대신 지투터치 필름을 캡글라스로 쓰는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

지투터치는 플렉시블 TSP 개발·생산을 위해 인력도 대폭 충원하면서 올해 흑자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오은지기자 onz@etnews.com

**Article provided by etnews [Korea IT News]

[Reference] :  http://english.etnews.com/device/2771652_1304.html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3550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