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KOREA – The Korean government will expand the share of investment in early-stage venture firms (within three years of their foundation) to 50% by 2017. The government aims to allow start-ups to finance their businesses with investments not with bank loans. According to the government and other institutions,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MBA) will ramp up the share of investment in early-stage venture firms in stages from the current 30% to 50% by 2017. To that end, budgets for angel funds will be continuously drawn up by 2017.
With the share of investment in early-stage venture firms at 30%, the share of investment in mid-term venture firms (3-7 years) stands at 25.4% and that in late-stage venture firms (over 7 years) at 44.6%. The US’s venture investment structure(32.5%, 35.5% and 32.4%) is not much different from Korea’s. However, the US has an angel investment market that is as large as its venture investment market. 60- 70% of the angel investors make investment in early-stage venture firms.
The government will continue to secure resources for angel funds. KRW 300 billion will be raised by 2017 and funds will be ploughed into the angel investment market in the form of angel investor matching funds.
Influenced by the JOBS Act, the Koreans government will also push for “Crowd-Funding” to channel more funds into early-stage start-ups.
Sean Chung (hbpark@etnews.com)
**Article provided by etnews [Korea IT News]
[Reference] : http://english.etnews.com/electronics/2715655_1303.html
박근혜 정부, 초기벤처 투자비중 50%로 올린다
정부가 2017년까지 초기벤처 투자 비중을 50%로 확대한다. 스타트업이 융자가 아닌 투자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환경을 바꾼다. `한 번 창업 실패는 영원한 실패`라는 고리를 끊기 위해서다. 18일 정부•기관에 따르면 중소기업청은 30% 수준인 초기벤처 투자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2017년에는 50%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17년까지 엔젤펀드 조성 예산을 지속적으로 마련한다.
지난해 초기벤처(설립 3년 이내) 투자 비중은 30%다. 중기(3~7년)가 25.4%, 후기(7년 이상)가 44.6%였다. 벤처 붐 당시에는 초기 투자 비중이 매우 높았다. 버블(거품) 제거 직후인 2002년 초기 투자 비중은 63.5%였다.
미국 벤처투자 시장은 초기가 32.5%며, 중기와 후기는 각각 35.5%와 32.4%다. 우리나라와 차이가 크지 않다. 하지만 미국은 벤처투자 규모 수준의 엔젤투자 시장이 존재한다. 엔젤투자자 대부분이 초기벤처에 집중해 초기 비중이 60~70%에 이르는 셈이다.
정부는 초기벤처 투자 확대를 위해 엔젤펀드 재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한다. 지난해(700억원)와 올해(500억원)를 포함해 2017년까지 3000억원을 마련한다. 자금은 주로 엔젤투자매칭펀드 방식으로 엔젤투자 시장에 투입된다. 매칭펀드는 엔젤투자자가 스타트업에 투자 시 일대일 규모로 매칭 투자한다. 엔젤투자 시장이 두 배 이상 커진다.
창업초기전용펀드도 지속적으로 만든다. 올해는 창업초기전용펀드•청년창업펀드 등 스타트업을 주요 투자처로 한 펀드를 각각 1000억원과 400억~1000억원 규모로 결성한다. 청년창업펀드는 정부가 일정 규모 예산을 투입하고 나머지 자금은 대기업•연기금 등에서 끌어들여 조성한다.
작년 미국 잡스(JOBS)법 제정 영향으로 추진 중인 `크라우드펀딩` 역시 초기 스타트업 투자 확대에 기여할 전망이다. 크라우드펀딩은 국민이 자금을 모아 공동으로 창업기업에 투자하는 방식이다. 엔젤투자자와 비교해 투자 규모가 작다. 이를 위해서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 중기청은 연내 개정을 목표로 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와 개정을 협의 중이다.
이병권 중기청 벤처투자과장은 “다양한 초기 벤처펀드를 만들어 창업기업이 융자에 의존하지 않고 투자로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m